삶과 우주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과 자연과 우주와 아니 모든것에 대한 궁극의 답을 원했다. 이 궁극의 문제(The Ultimate Question)를 풀기 위해 “깊은 생각(Deep Thought)”이라는 컴퓨터를 만들었다. 사람들은 “깊은 생각”에게 물었다. 그 삶과 우주와 모든것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 그것의 해답이 무엇이냐고. “깊은 생각”은 사람들에게 말했다. 그 답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히 750만년 후에 다시 오라고.
750만년이 지난 후에 사람들은 그 궁극의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다시 “깊은 생각”을 찾아갔다. “깊은 생각”은 대답했다. 그 궁극의 물음에 대한 답은
Forty-Two (42).
750만년을 기다린 사람들에게 42는 만족스런 답이 아니었다. 그러자 “깊은 생각”은 이렇게 말한다.
That’s not a question. Only when you know what the actual question will you know what the answer means.
더글라스 아담스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키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는 기발한 상상력과 황당한 설정으로 우리를 유쾌하게 만든다. 이 영화는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 보다는 조금 더 가볍고 유쾌하지만, 그 기발한 농담 속에 냉소가 배어있다.
그렇다. 문제를 정확히 아는 사람만이 답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답을 알기 위해서는 문제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앞길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문제가 무엇인지를 곰곰히 생각해 봐야 한다.
“깊은 생각”은 괜히 “깊은 생각”이 아니다. (“깊은 생각”에 따르면 역사상 두번 째로 위대한 컴퓨터이니 말이다.)
7 thoughts on “삶과 우주에 대한 궁극적인 물음”
문제는 만들어질 꺼고, 답은 만든 사람이 선택하겠죠.
논리라는 것이 용량의 한도 안에서만 그럴 듯 한 것이고,….
궁극적인 물음에 대한 답이란것도 결국엔 선택이니… 보편적 진리 자체를 추구하는 인간의 논리회로의
결함은 이런 스스로에 대한 조롱만 일삼나 봅니다.
이런…
-만들어
-한 것이고,….
-논리 회로의
미안합니다.
진실은 숨어있고, 사람들은 진실보다는, 행복에 전념하겠죠 진실은 대개 불편하니까요.. 우주와 삶의 궁극적 진실을 평범한 사람들도 궁금해하겠지만, 그것을 애써 깨우치려는 사람들에게조차, 잘 나타날 수 없는 노릇같습니다.. 불교적 진실, 기독교적 진실, 무신론적 진실, 유아독존적 진실…사람들은 저마다의 진실을 가지고 있고, 저마다의 바람대로 진실을 왜곡하고, 우주적 진실과 삶의 신비는 꽁꽁 감취어져 있는 것 같아요..
최근에 이 영화 혹은 소설을 읽으신 건가요? ^ ^
문득 이 포스트를 쓰신 계기가 궁금해져서요.
저는 개인적으론 영화만을 봤는데, 제 취향에는 그다지 부합하지 않았습니다.
중간 중간의 위트와 유머감각이 주는 카타르시스는 분명히 있었지만… 뭐랄까, 강하게 매료되는 느낌은 생기지 않더라구요. 그에 반해서 지구를 지켜라는 정말 정말 좋아하는 영화입니다. : )
p.s.
작은 부탁을 드리고 싶은데요. ^ ^;
http://minoci.net/379
위 글은 블로그 사이의 릴레이 놀이입니다.
저로선 소요유님께서 바통을 받아주시면 참 좋겠습니다.
물론 전혀 부담 가지실 필요는 없으시고요… ^ ^; (바통 받지 않으셔도 전혀 상관 없습니다. : )
마음과 시간이 허락하시면 가볍게 받아주시면 무척 반갑겠습니다.
무언가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신가요? 품격 있으면서 유쾌한 토론을 기다리시나요?
사회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팀블로그 에서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바실리카(basilica)는 고대 로마의 공공 집회 공간 또는 건물을 가리킵니다.
전환기에 놓인 한국 사회에서 차분한 성찰과 더불어 좌우 모두를 아우른 공적 논의가 절실한 시기입니다. 2008년 온라인 공간에 세운 팀블로그 는 중심축을 ‘공공성’에 두고,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면서,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길을 열어보고자 합니다
민노씨 님 말마따나 저도 “지구를 지켜라”를 더 좋아합니다. 하지만 이 영화도 우스워보이기는 하지만 그 상상력이 간단치는 않더군요. 가끔 농담같은 영화들이 또다른 의미를 주기도 합니다. 위에서 인용한 영화의 내용도 그 중 하나이구요. 저는 영화를 평할만한 수준은 안되지만 인상적인 대사나 장면을 기억하기는 좋아합니다.
그나저나 바통 놀이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접근성 차원에서.. 설명 배달 왔는데요, 여기에서도 물어봐주셔서 댓글창이 어색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 ^
간략하게나마 설명을 드리면요.
■ 바통을 받는 5명, 절대로 5명! (지정과 함께)
이 기본 목차에 대해선 소요유님께서 바통을 받을 다섯 명을 지정하시고, 또 그 다섯 명의 블로거께서 쓰실 ‘주제’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그러니 소요유님께서 바통을 전해드리고 싶은 다섯 분의 블로거를 정하시고, 그 분들의 개성에 맞는 주제를(일종의 ‘숙제’를) 지정해주는 것이죠.
제가 소요유님께 “노무현”이란 주제를 지정한 것처럼 말이죠.
그리고 이하 다섯개 ‘지정’ 설문의 형식에 따라 “###”(주제. 소요유님의 경우엔 ‘노무현’)에 대해 쓰시면 됩니다.
■ 최근 생각하는 “노무현”
■ “노무현”의 감동
■ 직감적 “노무현”
■ 좋아하는 “노무현”
■ 세계에 “노무현”이 없다면?
다섯 가지 지정설문에 소요유님께서 자유롭게 답변을 채우시면 됩니다. ^ ^;
설명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