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신문을 많이 읽으면 공부를 잘한다?
종이 신문을 많이 읽으면 공부를 잘 한다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최영재 한림대 교수의 연구 결과를 보도한 이 기사는 우리나라 신문과 연구자들이 어떻게 대중을 우롱하고 호도하는지를 그리고 어떻게 장사해 먹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라 하겠다. 기사는 “평소에 신문을 열심히 읽는 대학생은 사회지식도 많고 공부도 잘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다음과 같이 최영재 교수의 말을 인용한다.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 종이신문 읽기는 지식 습득과 민주주의 의식 향상 효과가 동시에 나타났다”면서 “종이 신문은 인터넷 등 어떤 뉴미디어 매체로도 채워질 수 없는 문화적 자산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문 읽기 운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팀이 서울·대구·강원·전북의 대학생 12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종이신문을 하루 평균 30분 이상 읽는 중(重)이용자는 16%, 6~29분 읽는 경(輕)이용자는 22%, 5분 이하 읽는 비(非)이용자는 6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지난 2년간 평균 학점을 비교하면 4.5점 만점에 중 이용자 3.69점, 경이용자 3.57점, 비이용자 3.55점 순이었다.
[“신문 많이 읽는 대학생, 학점도 높아”, 조선일보]
이 연구는 학생들의 종이 신문 읽는 시간과 학점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인데, 연구자인 최 교수팀은 두 변수의 상관관계(correlation)을 분석해 놓고, 해석은 인과관계(causation)으로 해 버리는 아주 기가 막힌 우를 범하고 있다. 이것은 종이 신문을 많이 읽으면 공부를 잘 하는 것이 아니고,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의 특징 중 한 가지가 신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읽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전체 논문을 읽어 보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의 과정이 어떤지는 모르겠으나, 연구의 결론은 잘못내려진 것이다.
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가 어떠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고, 인과관계 분석은 두 변수의 연관성이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최영재 교수팀의 논리대로라면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으면 성적이 좋다” 또는 “머리를 단정하게 깍으면 공부를 잘한다”라는 논리도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아침을 거르지 않는다는 것과 머리가 단정한 것은 공부 잘하는 학생들의 특징일 뿐이다. 공부를 잘하려면 공부를 열심히 하는 수 밖에 없다.
최영재 교수팀은 종이 신문이 인터넷등 어떠한 매체로도 채울수 없는 문화적 자산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이 대목에 이르면 이 논문의 연구비가 어디에서 나왔는지 대강 짐작할 만하다. 종이 신문에 나오는 모든 기사들을 인터넷으로 다 볼수 있는데 종이 신문에 무슨 문화적 가치가 있을까? 지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광고 말고 무엇이 더 있는가.
최 교수팀에 딱 한 가지 동의하는 것은 종이 신문을 읽으면 민주의식이 고양된다고 한 부분이다. 조중동 같은 반민주, 반민족, 반통일 신문들을 보면 세상을 저렇게 살아서는 안되겠구나하는 타산지석의 교훈은 얻을수 있을 것이다.
나의 결론은 이렇다. 종이 신문은 되도록 보지 말자. 쓰레기 신문들이 하루에도 천만 부 이상 발행되니 그 얼마나 종이 낭비가 심각할 것인가. 하루에도 웬만한 숲이 하나씩 없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종이 신문들에 실리는 기사는 종이 그 자체보다도 가치가 없으니 종이를 아끼는 차원에서 종이 신문을 읽지 말자. 대신 필요하면 인터넷으로 기사를 보도록 하자.
조중동 같은 종이 신문을 많이 읽으면 사람이 이상해지게 된다. 정상적인 사고가 쉽지 않게 된다. 종이를 아끼는 차원에서도 종이 신문을 보면 안된다.
14 thoughts on “종이 신문을 많이 읽으면 공부를 잘한다?”
결론이 황당하네요… 종이 신문 읽기 운동 한다고 과연 신문읽는 사람이 얼마나 증가할지 의문…
요즘에는 점점 신문의 필요성이 느껴지지도 않고..
조중동같은 신문은 보고 싶지도 않고…. 집에선 중앙일보를 구독하고 있긴합니다만..
제대로 본지는 꽤 된것같네요..
저런걸 어떻게 통계치라고 생각하는 통계학과 교수가 다 있나 했는데, 언론정보학과 교수였군요. OTL
흠, 근데 저런게 논문이란 말이죠? 역시.. 날로 먹는 사람들이 아직 많군요. ^^
민주의식 고양을 위해선 조중동을 봐야 한다는 부분에서 한표…^^ 여담이지만 얼마전 선우정이라는 조선일보 일본 특파원의 ‘일본 스시’ 관련 기사를 보고 기자한테 이메일로 이 기사 뉴욕타임즈 기사 번역한거 아니냐고 따진적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니라고 하더니 계속 추궁하니까 미안하다면서, 뉴욕타임즈 본 조선일보 데스크가 재밌으니 써보라고 했다더군요. 결국 특파원기사가 아니라 짜집기 기사인거죠. (주고받은 메일 보관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그런짓하는게 조중동 뿐만아니라 우리 언론의 모습입니다. 일단 기사는 안믿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 “이 논문의 연구비가 어디에서 나왔는지 대강 짐작할 만하다” … 놀라우십니다(클릭). 🙂
처절하네요. 신문이 잘 안팔리긴 하나 봅니다.
조선일보가 마음이 조급하긴 한 것 같네요.
이런 말이 있습니다. Good writing is 3 percent creativity and 97 percent not being distracted by the internet.
보는 자세가 분명 다르다고 봅니다. 물론 말씀대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가지고 바꿔치기를 한 느낌이 없잖아 있지만 어쨌든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책 읽는 데 전혀 관심이 없는 (따라서 ‘공부 못하는 학생’에 해당하는) 사람은 포털의 톱자리에 나온 기사 제목이 재밌으면 잠깐 읽고 곧바로 싸이질하거나 soyoyoo님의 블로그를 보게 됩니다. 글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다 못 본 신문을 들고 다닙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특히 종이신문과 인터넷이 공존하게 된 이후에 어린 시절을 보낸 학생들에게 더 두드러질 것 같습니다.
옛날 전두환 시절에 평화의 댐 짓겠다고 어린애들의 코묻은 돈까지 모금한 적이 있었지요. 그 때 어떤 토목공학과의 유명한 교수는 방송에 모형까지 만들어 와서 북한이 수공을 하면 63빌딩 절반까지 잠긴다는 기상천외한 쇼를 했었습니다. 지금 이명박 후보의 대운하 보고서를 만드는 대부분 교수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명색이 대학교수라는 사람들이 인과관계와 상관관계의 차이를 모르지야 않겠지요. 하지만 학문을 한다는 사람들이 정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양심을 팔고 있다는 데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배웠다는 사람들이 과학적 절차입네 하면서 대중을 속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솔직히 종이가 아깝습니다. 우리나라 신문들은 대부분 종이로 만들 가치가 없는 것들입니다. 그런 기사들을 품고 있어야 할 종이가 불쌍하고 나무가 불쌍할 따름입니다.
음…. 기자가 명제를 안 배워서 그래요. -_-
필요조건인지 충분조건인지 그것도 아니면 필요충분 조건인지….^^;
제 생각에는 논문을 직접 봐야 어떻게 결론을 추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논문에 단순히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그대로 해석하는 경우는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이런게 갑갑하더군요.
우리나란 컴퓨터하면 무조건 나쁘게 생각하죠.
같은 내용이라도 책이나 신문등으로 봐야 그게 좋은거라고 생각하고..
편견이 큰거 같습니다..
재밌는 글 잘 읽었습니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일부러 모른척 한거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