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판단

객관적 판단

객관적 판단

심사와 평가는 늘 주관적이다. 객관적 평가는 관념 속에서나 이론적으로는 가능할 지 모르지만, 실제 평가는 다 평가자의 가치관과 주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논문을 제출했는데, 그 논문이 과연 출판할 가치가 있는지 평가하려면 그 논문의 기여도를 보게 된다. 이론적 기여가 있는지, 실제 그 결과를 응용할 수 있는지, 기존 연구에 비해 새로운 주장이 있는지 등을 평가하게 되는데, 이런 기여가 없을 경우 논문은 출판되지 못한다.

각종 경연이나 경진 대회의 심사도 마찬가지다. “객관적으로 심사해 주세요.” 이런 주문은 불가능하다. 객관적 기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공정하게 평가해 주세요.” 여기서의 핵심은 “공정”인데, 이건 절차에서의 공정만이 가능할 뿐이다.

법대로 판결한다는 법관도 예외일 수 없다. 법과 양심에 따라 판결을 한다지만, 그 양심이란 것에 객관적인 척도는 없다. 따라서 모든 법적 판결도 주관적이다.

모든 판단은 주관적이지만, 그것이 타당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그 판단에 대한 비판을 허락해야 한다. 비판을 허락하지 않는 판단은 비합리적인 도그마가 될 확률이 크다.

사람을 선택하는 세 가지 기준

사람을 선택하는 세 가지 기준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우리는 하루에도 여러 번씩 선택의 순간들을 마주한다. 물론 아주 사소한 선택들도 있고 정말 중요한 선택들도 있지만, 그러한 선택들이 모이고 모여 결국 우리의 삶을 완성한다.

이러한 선택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다. 직장에서 새로운 직원을 뽑을 때, 많은 지원자 중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배우자로서 지금 이 사람은 괜찮은가? 우리 모임의 회장은 누가 되는 것이 좋을까? 대통령 선거가 코 앞인데, 어떤 후보를 지지할 것인가?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기준을 적용하여 사람을 선택해야 할까. 특히 어떤 조직이나 나라를 이끌 지도자를 선택할 때 적용할 만한 기준은 없는가.

나는 개인적으로 사람을 선택할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을 가지고 판단한다. 첫째, 이 사람의 삶의 궤적이 어떠한지를 들여다 보는 것이다.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나타내 주는 가장 좋은 지표는 그 사람의 주요 선택들을 살펴 보는 것이다. 특히, 절박한 상황에서의 선택들은 대체로 그 사람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일제시대에 일본군 장교가 되기 위해 만주군관학교에 혈서를 쓰고 입학하였다면, 그 누구도 이 사람을 민족주의자나 독립운동가로 보지 않는다. 그런 사람이 정권을 잡기 위해 군사쿠테타를 일으켰다면, 아무도 그 사람을 민주주의자로 보지 않는다. 또, 죽을 때까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헌법을 파괴하고 국민들을 탄압했다면, (정상적인 사고를 지닌 사람이라면) 그를 독재자라고 판단할 것이다. 이런 사람에 대해 어떤 사람이 나와서 이런 독재자의 공과 과를 나누어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그 사람은 친일과 군사독재에 부역했거나 또는 그런 행위를 옹호하는 사람이다.

두 번째 기준은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누구나 말은 쉽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가 한 말을 행동으로 실천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말과 행동이 일치되는 사람들은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 특히 공허한 얘기들을 하지 않는다. 매일 사람들이 듣기 좋아하는 말만 하고, 구체적이지 않고 뜬구름 잡는 얘기들만 하며, 증명될 수 없는 언술을 즐겨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사기꾼이거나 기회주의자일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어떤 대통령 후보가 매일매일 정치혁신을 주장하고, 새로운 정치를 해야한다고 말한다고 하자. 물론 말이야 바른 말이지만, “그럼 당신이 주장하는 새로운 정치가 무엇이요?”, 또는 “어떻게 할 수 있는 거요?” 라고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국민이 판단할 겁니다”라고 대답하는 후보는 믿을 수 없는 사람이다. 그 사람의 인생을 통틀어 단 한 번도 정치혁신에 기여한 바가 없는 사람이 말만 이렇게 하고 돌아다닌다면 그는 가짜다. 사람은 말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행동으로 판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그 사람이 이(利)에 민첩한지 아니면 의(義)에 민첩한지를 살피는 것이다. 공자는 논어 이인편에서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라는 말을 남겼다. 조직생활을 하다보면 어느 조직이든 자기의 이해관계를 앞세우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기회주의자들이다. 이런 사람들이 조직의 장이 되었을 때, 그 조직이 성공할 확률은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대통령이 퇴임 후 살 집을 짓기 위해 아들 명의로 땅을 샀다고 하자. 그리고 아들 명의의 땅을 싸게 사기 위해 경호처 지분을 비싸게 사려 했다면 아무도 이런 대통령을 정상적인 지도자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아주 조그마한 이득을 취하기 위해 자기의 아들과 자신을 위해 일했던 사람들을 피의자로 만들고 범법자로 만드는 사람을 정상적인 대통령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런 자를 대통령으로 뽑은 국민들은 행복할까, 아니면 불행할까?

이런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면 사람을 판단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아니 참 쉽다. 그런데 사실 이렇게 콩이야 팥이야 얘기를 해 줘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기준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판단할 때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오류를 저지른다. 자기를 객관화시키기가 말처럼 쉽지 않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통령 선거가 4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아직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면 이 글에서 얘기한 세 가지 기준을 가지고 선택해 보시기 바란다.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정의롭고 공정한 후보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거에서 선택이란 일단 최악의 후보를 피하는 것이다. 건투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