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이오덕

우리 말이 될 수 없는 말

우리 말이 될 수 없는 말

이오덕 선생은 우리 말이 될 수 없는 말을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나누었다.

  1. 어려운 한자말
  2. 귀로 듣거나 우리 글로 적어놓은 것을 보아서는 알아차릴 수 없는 중국글자말
  3. 일본사람들만이 쓰던 중국글자말을 그대로 중국글자음으로 읽고 쓰는 말
  4. 일본식 말법을 그대로 따라 쓰는 말
  5. 서양말법 따라 쓰는 말
  6. 일본말이나 서양말을 (버젓한 우리 말이 있고 우리 말로 쓸 수 있는데도) 그대로 쓰는 말

<이오덕, 우리 글 바로 쓰기2, p. 354>

우리 글을 제대로 쓰기 위해서 반드시 읽어야할 책이 바로 이오덕 선생의 <우리 글 바로 쓰기>다. 모두 5권으로 되어 있지만, 시간이 없으면 1권만이라도 꼭 읽어야 한다. 우리가 쓰는 말과 글이 얼마나 오염되었는지 금세 알 수 있다.

소박한 유서

소박한 유서

양철북에서 펴낸 책, <선생님, 요즘은 어떠하십니까>는 이오덕 선생과 권정생 선생이 1973년부터 30년간 주고 받은 편지를 모은 책이다. 두 사람은 12년이라는 나이 차가 있었지만, 죽는 날까지 동지로 도반으로 함께 했다.

그들이 주고받은 많은 편지에는 스무 살때부터 결핵을 앓아온 권정생 선생의 처절한 고통을 엿볼 수 있는데, 그런 병고 속에서 <강아지똥>이나 <몽실언니> 같은 우리나라 아동 문학의 진수를 창작했다는 것은 정말 믿기 어려운 일이다. 그의 영혼이 얼마나 순수했는지, 그의 열정이 얼마나 치열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책 말미에 실린 권정생 선생의 소박한 유서를 잊을 수 없다.

……
앞으로 언제 죽을지는 모르지만 좀 낭만적으로 죽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나도 전에 우리 집 개가 죽었을 때처럼 헐떡, 헐떡거리다가 숨이 꼴깍 넘어가겠지. 눈은 감은 듯 뜬 듯하고 입은 멍청하게 반쯤 벌리고 바보같이 죽을 것이다. 요즘 와서 화를 잘 내는 걸 보니 천사처럼 죽는 것은 글렀다고 본다. 그러니 숨이 지는 대로 화장을 해서 여기 저기 뿌려 주기 바란다.
……
만약에 죽은 뒤 다시 환생을 할 수 있다면 건강한 남자로 태어나고 싶다. 태어나서 스물다섯 살 때 스물두 살이나 스물세 살쯤 되는 아가씨와 연애를 하고 싶다. 벌벌 떨지 않고 잘할 것이다. 하지만 다시 환생했을 때도 세상엔 얼간이 같은 폭군 지도자가 있을 테고 여전히 전쟁을 할 지 모른다. 그렇다면 환생은 생각해 봐서 그만둘 수도 있다.

<2005년 5월 1일, 쓴 사람 권정생>

선생님이 남기신 작품들은 우리 아이들의 영혼을 맑게 합니다. 다음 생에서는 아프지 마시고, 싱그러운 아가씨와 연애도 하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