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시가 와 닿지 않는 이유

시가 와 닿지 않는 이유

시적 외양은 다 갖춰졌는데 와 닿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 말의 꼬임이 없다.
  • 너무 복잡해서 흐름이 안 보인다.
  • 안 깎은 연필 글씨처럼 표현이 뭉툭하다.
  • 말의 드리블이 느리거나 서툴다.
  • 빌려 입은 옷처럼 멋 부린 느낌이다.
  • 세부가 없이 너무 담방하다.
  • 뻔한 말장난을 하고 있다.
  • 처음부터 하려는 얘기가 다 보인다.
  • 머릿속에 그림이 잘 안 그려진다.
  • 억지로 짜맞춘 느낌이다.
  • 이 시를 왜 썼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성복, 무한화서, 2015, p. 92>

쉬는 날

쉬는 날

사느라고 애들 쓴다.

오늘은 시도 읽지 말고 모두 그냥 쉬어라.

맑은 가을 하늘가에 서서

시드는 햇볕이나 발로 툭툭 차며 놀아라.

<김용택, 쉬는 날, 2016>

img_3566

길가의 활짝 핀 코스모스를 보며, 김용택의 시를 생각했다. 그래. 오늘 같은 날은 아무 일도 안 하고, 푸른 하늘 아래 한들거리는 코스모스나 보면서 놀아야겠다.

사랑은 불이어라

사랑은 불이어라

딸아 사랑은 불 같은 것이란다 높은 곳으로 타오르는 불 같은 사랑 그러니 네 사랑을 낮은 곳에 두어라 아들아 사랑은 강물 같은 것이란다 아래로 흘러내리는 강물 같은 사랑 그러니 네 눈물을 고귀한 곳에 두어라 우리 사랑은 불처럼 위험하고 강물처럼 슬픔 어린 것이란다 나를 던져 온전히 불사르는 사랑 나를 던져 남김없이 사라지는 사랑 사랑은 대가도 없고 바람도 없고 사랑은 상처 받고 무력한 것이지만 모든 걸 다 가져도 사랑이 없다면 우리 인생은 아무것도, 아무것도 아니란다 사랑이 길이란다 사랑이 힘이란다 사랑이 전부란다 언제까지나 네 가슴에 사랑의 눈물이 마르지 않기를 눈보라 치는 겨울 길에서도 우리 사랑은 불이어라 <박노해, 사랑은 불이어라, 2013>
시를 쓰는 법

시를 쓰는 법

하이쿠의 성인이라 불리는 마쓰오 바쇼는 시를 쓰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소나무에 대해선 소나무에게 배우고
대나무에 대해선 대나무에게 배우라.
그대 자신이 미리 가지고 있던 주관적인 생각을 벗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생각을 대상에 강요하게 되고 배우지 않게 된다.
대상과 하나가 될 때 시는 저절로 흘러나온다.
그 대상을 깊이 들여다보고, 그 안에 감추어져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것을 발견할 때 그 일이 일어난다.
아무리 멋진 단어들로 시를 꾸민다 해도
그대의 느낌이 자연스럽지 않고
대상과 그대 자신이 분리되어 있다면,
그때 그대의 시는 진정한 시가 아니라
단지 주관적인 위조품에 지나지 않는다.

<마쓰오 바쇼, 류시화 옮김, 바쇼 하이쿠 선집>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시인 백석(白石)이 “흰 바람벽이 있어”라는 시에서 했던 말.

하눌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서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스 쨈’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성탄절을 맞아 세상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한 사람들에게 사랑과 평안과 위로를 보낸다. 지금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한 사람들은 하늘이 가장 귀하게 여기고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바람 부는 날

바람 부는 날

숲 속 참나무 사이로 바람이 지나간다. 나뭇잎들을 어루만지며 지나간다. 나무들이 솨아솨아 소리내어 바람을 배웅한다. 참나무 아래로 도토리들이 떨어지고, 머리에 수건을 두른 할매들이 도토리들을 주어 담는다. 오늘 저녁엔 떫떠름한 도토리묵이 밥상에 오를 것이다.

가을은 깊어가고, 숲은 서서히 겨울 맞을 채비를 한다. 바람 부는 날에는 숲 속 참나무에 기대 앉아 시 한 편 읊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바람이 분다
바람에 감전된 나뭇잎들이 온몸을 떨자
나무 가득 쏴아 쏴아아
파도 흐르는 소리가 난다
바람이 부는 곳으로 가 보자고
바람의 무늬가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 보자고
작고 여린 이파리들이
굵고 튼튼한 나뭇가지를 잡아당긴다
실처럼 가는 나뭇잎 줄기에 끌려
아름드리 나무 거대한 기둥이
공손하게 허리를 굽힌다

<김기택, 바람 부는 날의 시>

민들레 그리고 국수집

민들레 그리고 국수집

시인 신용목이 쓴 민들레라는 시의 한 구절이다.

가장 높은 곳에 보푸라기 깃을 단다
오직 사랑은
내 몸을 비워 그대에게 날아가는 일
외로운 정수리에 날개를 단다

<신용목, 민들레, 2004>

민들레국수집을 벌써 11년이 넘게 운영해온 서영남 대표의 미소는 한없이 온화하다. 그의 느릿하고도 부드러운 말투에서는 은은한 향기가 흐른다. 아무런 조건이나 이유없이 굶는 이들을 위해 따뜻한 밥을 짓는 그의 손길이 아름답다. 그로 인해 가난하고 비참했던 세상은 사랑으로 가득한 천국이 되었다.

비루한 세상을 구하기 위해 하늘은 가끔씩 천사들을 내려 보내는 듯하다.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이들은 바로 이런 분들이 아닐까.

서영남

선생님께 드리는 편지

선생님께 드리는 편지

선생님을 뵌 지 올해로 꼭 삼십 년이 됩니다. 삼십 년 전, 저는 풋풋한 소년이었고, 선생님은 혈기왕성한 청년이셨지요. 세월이 살과 같이 흘러, 그때 청년이던 선생님이 벌써 정년퇴임을 하십니다.

새로 생긴 학교에 배정되었을 때, 제 부모님은 걱정을 좀 하셨습니다. 집에서도 멀었고, 학교에는 중장비가 지나다니고 있었으니까요. 저는 그때 별 생각이 없었는데, 선생님이 담임을 맡으신 후, 모든 것이 즐겁고 행복했었습니다. 아마 선생님을 만나려고 그 학교에 간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도 해봅니다.

먼 길을 통학하던 것도, 선생님을 도와 반장으로서 학급을 운영했던 것도, 친구들과 같이 머리 맞대며 공부하던 일들도 모두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남았습니다. 선생님도 기억하실 겁니다. 그때 우리 반은 모든 분야에서 상을 받아, 교실 한쪽 벽에 상장이 수도 없이 걸렸었습니다. 정말 신나고 재미있던 시절이었고, 아마 그때가 제 소년 시절의 절정이었을 겁니다.

선생님과 같이 갔던 심천 미루나무 숲도 생각나고, 김태곤의 망부석을 멋들어지게 부르시던 모습도, 언젠가 카메라를 새로 사셨다고 우리들 사진을 찍어주시던 것도 생각납니다. 아직도 그때 사진이 제 앨범에 남아 있습니다.

공부도 공부지만, 남자답게 사나이답게 사람답게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늘 가르쳐주시고 보여주셨던 선생님. 선생님과 같이 했던 그 시간들이 없었다면 오늘날 제가 없었겠지요. 자주 연락도 못 드리고, 자주 찾아 뵙지도 못하지만, 선생님께서는 언제나 청년의 모습으로 제 마음 속에 계십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선생님!

이제 삼십 년이 넘게 교단에 계시다가 정년을 맞이하게 되셨네요. 정년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감개무량하고 시원섭섭하시리라 짐작해 봅니다. 정년으로 교단을 떠나시지만, 선생님께서는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하시겠지요. 저는 선생님의 원조 제자로 늘 선생님의 제 2의 인생을 응원하겠습니다.

선생님의 정년을 축하하며, 선생님의 진정한 여행을 위해 제가 좋아하는 시 한 편을 선물로 드립니다.

가장 훌륭한 시는 아직 씌어지지 않았다.
가장 아름다운 노래는 아직 불려지지 않았다.
최고의 날들은 아직 살지 않은 날들
가장 넓은 바다는 아직 항해되지 않았고
가장 먼 여행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불멸의 춤은 아직 추어지지 않았으며
가장 빛나는 별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별
무엇을 해야 할 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때
그때 비로소 진실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때
그때가 비로소 진정한 여행의 시작이다.

<나짐 히크메트, 진정한 여행>

선생님의 진정한 여행은 이제부터일 겁니다. 늘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사랑합니다.

엄마와 컴퓨터

엄마와 컴퓨터

타닥타닥 타닥타닥
늦은 밤
고요함을 깨고
낮게 울려퍼지는
컴퓨터 소리

엄마는 오늘도
늦게까지 일하신다

낮에 보니
자판이 다 닳아 있는
엄마의 컴퓨터
마음이 쓰라린다

밤하늘의 별은 반짝반짝
나의 눈은 말똥말똥
엄마 손은 타닥타닥

밤 사이에 훌쩍 자라
내일 아침엔
어른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 시는 딸아이가 밤늦게 일하는 아내의 모습을 보고 쓴 것이다. 밤늦게까지 일하는 아내의 고단한 노동과 그것을 보고 안쓰럽게 생각하는 딸아이의 예쁜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첫눈

첫눈

설레임으로 다가왔다가
어설픔으로 끝나버린다

흔적 없이 사라지지만
아련하게 남아
잊혀지지 않는 것



<소요유, 첫눈,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