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불교

무심재(無心齋)

무심재(無心齋)

무심재는 건축주가 일찍이 지은 이름이다. 불교에서 강조하는 무심은 무분별심을 뜻하는 것으로 ‘분별이 없는 마음, 망상이 없는 깨어있는 마음’을 말한다. 즉, 이해득실로 귀결되는 분별에서 벗어나 거대한 우주의 흐름에 올라타는 맑고 밝은 마음의 상태이다. 하지만 무심한 주거공간을 상상하기란 참으로 쉽지 않았다. 긴 논의 과정 끝에, 무심재는 주인이 귀가하여 현관에 들어서는 순간 세상의 모든 번뇌에서 풀려나 오로지 충만한 자기 자신으로 돌아올 수 있는 공간으로 구현됐다.

조그만 인간 존재 의미를 거대한 자연과 병치시켜 유장한 흐름 속에 삶도 죽음도 아무것도 아닌 게 되는 그런 집. 그것을 이루기 위해 먼저 대지가 위치한 계룡산의 뛰어난 자연경관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이 집의 모든 거주하는 방들은 산을 면하는 쪽에 배치하였다. 거실과 서재에는 바닥부터 시작되는 큰 창으로 넉넉하게 계룡산 능선을 끌여들였다. 특히 2층에 위치한 거실은 창을 향해 점점 열리는 각도의 벽을 이용해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발코니 난간도 최대한 투명하게 디자인 하였다. 안방과 손님방의 창은 가장 오래 머무르는 가구(침대)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늘과 산과 숲이 다가오게 하였고, 다락의 천창은 밤하늘의 별을, 계단실 창은 걸어 올라오면서 계룡산 최고봉인 삼불봉을 마주한다.

무심재는 아주 간결하고 소박한 연면적 60평도 안되는 작은 집이다. 조형도 단순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대지 고저차에의 대응, 그리고 박공지붕으로 인해 보통의 주택과는 다른 내부 공간 높이를 지닌다. 재료와 색채, 디테일은 검박하게 결정되었지만 공간의 프로파일은 은근 당당하며, 풍부하고 기품 있는 볼륨과 다양한 시점을 제공한다. 모든 것을 더도 덜도 없이 딱 필요한 만큼만 갖추려 했다. 그렇다 해도 무심하고자 하는 건축주의 분별 있는 마음을 담기에 부족함이 없는 공간이길 바란다.

<조항만, 건축문화, Vol. 502, March 2023, pp. 38-45.>

수행을 하는 이유

수행을 하는 이유

우리가 수행을 하는 이유는 우리도 부처님처럼 살아보기 위해서입니다. 부처님은 맨발에 헌 옷 하나 걸치고 나무 밑에서 자고 남의 집에서 밥을 얻어먹고 살았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가난했지만 왕보다 행복했고, 모든 사람이 부처님을 찾아와 인생을 상담할 만큼 지혜로웠습니다. 홀로 있어도 외롭지 않았고 수천 대중과 함께 있어도 귀찮아하지 않았습니다. 숲에 홀로 있으면 정진하기 좋았고, 시끄러운 저자에 있으면 교화하기 좋았습니다. 먹을 것이 없으면 수행하기에 좋았고, 먹을 것이 많으면 베풀 수 있어 좋았습니다. 사람들이 비난하면 인욕행(忍辱行)하기에 좋았고, 사람들이 우러러 존경하고 따르면 법을 전하기에 좋았습니다. 부처님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괴로움이 없고 자유로운 삶을 살았습니다. 이것이 붓다의 삶입니다. 이런 붓다의 삶을 본받는 것, 붓다처럼 되는 길이 바로 수행의 길입니다.

이렇게 자유롭고 행복한 사람이 되면 아무 가진 것이 없어도 비굴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부족한 줄을 알아서 참회하는 사람은 어딜 가더라도 교만하지 않습니다. 비굴하고 교만한 것을 버리고 당당하고 겸손한 삶을 사는 것, 이것이 수행자가 살아가야 할 길입니다.

<법륜, 기도, 정토출판, 2010, pp. 50-51>
가르쳐도 가르침이 없는 경지

가르쳐도 가르침이 없는 경지

“수보리여 어찌 생각하는가? 너희는 여래가‘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하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하지 말라. 수보리여, 이렇게 생각하지 말라. 왜냐하면, 여래가 제도한 중생이 실제로 없기 때문이다. 만일 여래가 제도한 중생이 있다고 하면, 곧 여래에게도 자아, 개아, 중생, 영혼이 있다는 집착이 있는 것이다. 수보리여, 자아가 있다는 집착은 자아가 있다는 집착이 아니라고 여래는 말한다. 그렇지만 보통 사람들은 자아가 있다고 집착한다. 수보리여, 보통 사람들이란 것도 여래가 말하기를 곧 보통 사람들이 아니요, 그 이름만 보통 사람들이라 불린다고 한다.”

須菩提, 於意云何? 汝等勿謂如來作是念, 『我當度衆生。』 須菩提, 莫作是念。 何以故? 實無有衆生如來度者。 若有衆生如來度者, 如來則有我人衆生壽者。 須菩提, 如來說, 『有我者, 即非有我, 而凡夫之人以為有我。』 須菩提, 凡夫者, 如來說即非凡夫, 是名凡夫。

<金剛般若波羅蜜經 第二十五 化無所化分>

금강경 제25 화무소화분. 가르쳐도 가르침이 없는 경지, 그 경지가 과연 가능할 것인가.

명상이란 무엇인가

명상이란 무엇인가

명상이란 생각과 마음을 비워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고요히 쉬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으나 정신은 맑게 깨어있는 상태입니다. 이 상태를 불교에서는 선정, 혹은 삼매라 부릅니다.

명상은 몸, 마음, 정신 모두 쉬는 것입니다. 모든 육체활동을 멈추고, 마음과 정신활동을 멈추고 평안히 쉬는 것입니다. 긴장을 완전히 풀고 마음을 텅 비워 가슴을 푸른 하늘처럼 활짝 여니 마음이 쉬는 것입니다. 또, 번외, 잡념을 떨치니 정신이 쉬는 것입니다. 완전히 쉬되, 맑게 깨어서 쉬는 게 잠자는 것과 다릅니다. 잠잘 때는 잠재의식 속의 온갖 감정과 생각이 활동하니 잠보다 더 완전한 휴식이라 볼 수도 있습니다.

고요히 쉬면서 맑게 깨어 내면을 바라보기 때문에 이 명상 수행을 불교에선 지관, 혹은 묵조라 일컫기도 합니다. 지관이란 생각과 마음의 움직임을 그치고 깨어서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묵조란 고요한 가운데 내면을 비춰본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같은 말입니다.

맑게 깨어있는 상태가 중요한데, 깨어있지 못하고 몽롱한 상태를 혼침이라 부릅니다. 혼침의 상태에서는 잠재의식 속의 감정과 번뇌가 발동합니다. 그래서 혼침에 빠지는 것을 경계합니다.

온전하게 쉬면서 맑게 깨어있는 무념무상의 상태를 유지하는 명상수행을 자꾸 하다보면, 내 안의 참 성품(마음), 참 정신, 참 생명력이 살아납니다. 깊숙이 숨어 있던 참 ‘나’의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러하여 참  ‘나’로 사는 깨달음에 이르게 됩니다. 이것이 명상수행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허, 숨 명상 깨달음, 다해, 2004, pp. 52-53>
일 없이 쉬어라

일 없이 쉬어라

스님들이여! 그대들이 눈앞에서 쓰는 것은 조사나 부처와 다르지 않음에도, 이와 같이 믿지 않고 다시 밖에서 구하는구나.

착각하지 마라! 밖에는 법이 없고, 안에서도 법은 얻을 수 없다. 그대들은 나의 입에서 나오는 말을 취하기보다는 일 없이 쉬는 것이 좋다.

이미 일어난 것은 이어 가지 말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은 일어나도록 할 필요가 없으면, 곧 그대들이 10년 동안 공부하러 돌아다니는 것을 능가할 것이다.

내가 보기에는 여러 가지 것이 없다. 다만 평범하게 옷 입고 밥 먹으며 일 없이 시간을 보낼 뿐이다.

<김태완 역주, 임제어록, 침묵의 향기>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1982년 부처님 오신 날, 성철 스님께서 내려 주신 “자기를 바로 봅시다”라는 법어는 불교의 핵심 진리를 담고 있다. 이 말씀만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다면, 아무 번뇌와 걱정 없이 이 세상을 살 수 있을 것이다.

허나 불생불멸의 본래 자기를 꿰뚫어 볼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진리는 수천년 전에 완성되어 전해졌지만, 인간들은 여전히 탐욕만 번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는 원래 구원되어 있습니다.
자기는 본래 부처입니다.
자기는 항상 행복과 영광에 넘쳐 있습니다.
극락과 천당은 꿈속의 잠꼬대입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영원하고 무한합니다.
설사 허공이 무너지고 땅이 없어져도 자기는 항상 변함이 없습니다.
유형, 무형 할 것 없이 우주의 삼라만상이 모두 자기입니다.
그러므로 반짝이는 별, 춤추는 나비 등등이 모두 자기입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모든 진리는 자기 속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만일 자기 밖에서 진리를 구하면,
이는 바다 밖에서 물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는 영원하므로 종말이 없습니다.
자기를 모르는 사람은 세상의 종말을 걱정하고,
두려워하며 이리저리 헤매고 있습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는 본래 순금입니다.
욕심이 마음의 눈을 가려 순금을 잡철로 착각하고 있습니다.
나만을 위하는 생각은 버리고 힘을 다하여 남을 도웁시다.
욕심이 자취를 감추면 마음의 눈이 열려서,
순금인 자기를 바로 보게 됩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아무리 헐벗고 굶주린 상대라도 그것은 겉보기일 뿐,
본모습은 거룩하고 숭고합니다.
겉모습만 보고 불쌍히 여기면,
이는 상대를 크게 모욕하는 것입니다.
모든 상대를 존경하며 받들어 모셔야 합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현대는 물질 만능에 휘말리어 자기를 상실하고 있습니다.
자기는 큰 바다와 같고 물질은 거품과 같습니다.
바다를 봐야지 거품은 따라가지 않아야 합니다.

자기를 바로 봅시다.
부처님은 이 세상을 구원하러 오신 것이 아니요,
이 세상이 본래 구원되어 있음을 가르쳐 주려고 오셨습니다.
이렇듯 크나큰 진리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는 참으로 행복합니다.
다 함께 길이길이 축복합시다.

<성철 스님, 자기를 바로 봅시다, 1982년 부처님 오신 날 법어>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般若心經)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아름답고도 거룩하신 지혜의 완성자께 예를 드린다.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 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이 지혜의 완성을 실천할 때
존재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에 실체가 없음을 보고
중생의 모든 괴로움과 재난을 건졌다.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물질적 현상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물질적 현상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며,
느낌과 생각과 의지 작용과 의식도 그와 같이 실체가 없다.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이 모든 존재의 실체가 없음은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그러므로 공에는 물질이 없고
느낌과 생각과 의지 작용과 의식도 없다.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과 의식도 없으며,
형체와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의식의 대상도 없으며,
눈의 영역도 없고 의식의 영역까지도 없다.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무명도 없고 무명이 다함도 없으며,
늙음과 죽음도 없고 늙음과 죽음의 다함까지도 없으며,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을 없앰과
괴로움을 없애는 길도 없으며,
지혜도 없고 얻음도 없다.

以無所得故 菩提薩埵 依般若波羅蜜多故 心無罣礙

얻을 것이 없으므로 보살은
지혜의 완성에 의지하여 마음에 걸림이 없다.

無罣礙故 無有恐怖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고
뒤바뀐 생각을 버리고 영원한 열반에 들어간 것이다.

三世諸佛 依般若波羅蜜多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이 지혜의 완성에 의지하여 최상의 깨달음을 얻는다.

故知 般若波羅蜜多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是無等等呪

그러므로 지혜의 완성은 가장 신비한 진언이며
가장 밝고 가장 높은 무엇에도 견딜 수 없는 진언이다.

能除 一切苦 眞實不虛

그것은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거짓이 없으므로
진실한 것임을 알아라.

故說 般若波羅蜜多呪 卽說呪曰

진언은 지혜의 완성에서 다음과 같이 말해진다.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가는 이여, 가는 이여, 피안으로 가는 이여,
피안으로 온전히 가는 이여, 깨달아지이다.)

아인슈타인 그리고 불교

아인슈타인 그리고 불교

20세기 가장 위대한 과학자 한 사람을 고르라고 한다면, 많은 이들이 주저없이 아인슈타인을 꼽을 것이다. 아인슈타인이 단지 뛰어난 과학자가 아닌 “위대한” 과학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소위 상대성 이론이라 불리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는 과학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과 종교에 대한 깊은 천착이 있었던 완성된 영혼이었다.

그 위대한 과학자 아인슈타인이 불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The religion of the future will be a cosmic religion. It should transcend personal God and avoid dogma and theology. Covering both the natural and the spiritual, it should be based on a religious sense arising from the experience of all things natural and spiritual as a meaningful unity. Buddhism answers this description. If there is any religion that could cope with modern scientific needs it would be Buddhism.

미래의 종교는 우주적인 종교가 될 것이다. 그것은 인간적인 하느님을 초월하고, 교리나 신학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한다. 그것은 자연의 세계와 정신적인 세계를 모두 포함하면서, 자연과 정신 모두의 경험에서 나오는 종교적인 감각에 기초를 둔 것이어야 한다. 불교가 이런 요구를 만족시키는 대답이다. 만일 현대 과학의 요구에 부합하는 종교가 있다면, 그것은 곧 불교가 될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불교는 가장 과학적인 종교라 할 수 있다. 2500여년 전에 붓다에 의해 말씀되어진 이 진리들은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여전히 진보적이고 새롭다. 참된 진리이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이 참으로 위대한 사람이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언급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A human being is part of the whole called by us universe, a part limited in time and space. We experience ourselves, our thoughts and feelings as something separate from the rest. A kind of optical delusion of consciousness. This delusion is a kind of prison for us, restricting us to our personal desires and to affection for a few persons nearest to us. Our task must be to free ourselves from the prison by widening our circle of compassion to embrace all living creatures and the whole of nature in its beauty. The true value of a human being is determined by the measure and the sense in which they have obtained liberation from the self. We shall require a substantially new manner of thinking if humanity is to survive.

참된 진리와 가르침은 어느 종교를 막론하고 하나로 맞닿아 있다. 예수를 닮고자 하는 것과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고자 하는 것은 결국 하나인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이야기와 간디의 이야기가 하나로 이어져 있고, 호킨스의 주장과 상통하고 있다.

그리하여 인류는 이미 구원되어 있다고 이야기하는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것을 깨우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황금률이 사라진 종교

황금률이 사라진 종교

예수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그가 남긴 말씀과 행적들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해 지켜야 될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것들에 대한 진리들이다. 그 진리는 지극히 단순하지만, 그것을 실천하기란 만만치 않다. 황금률이라 알려진 다음의 말씀도 그 중 하나이다.

너희는 다른 사람이 네게 해 주길 바라는 대로 다른 사람에게 해 주어라.

<누가복음 6:31>

다른 사람이 너희에게 해 주었으면 하는 대로, 너희가 다른 사람들에게 모두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내용이다.

<마태복음 7:12>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예수의 그 높은 경지를 따라갈 수는 없을지 몰라도 “다른 사람이 네게 해 주길 바라는 대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다른 이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세이다. 그런데, 예수가 이런 말씀을 하시기 500년 전쯤, 중국의 공자도 같은 이야기를 했다.

子貢 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공이 여쭈었다. “한 마디 말로 평생토록 실천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것은 서(恕)로다!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하지 않는 것이다.”

<논어 위령공:23>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도리는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이야기되어 왔고, 기독교를 포함한 거의 모든 종교에서 공통적으로 가르쳐왔다. 문제는 그런 인간의 도리를 가르치는 종교가 아니고, 그 종교를 믿는다고 주장하는 인간들의 행태이다.

우리나라 개신교의 한 목사가 “스님들이 빨리 예수를 믿어야 한다”며 설레발을 쳤다. 이런 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증거하는 예수의 제자들이 아니고, 예수를 모욕하고, 예수를 팔아 장사하는 자들이다. 서울을 하나님께 봉헌하겠다고 한 자가 대통령이 되는 나라이니, 저런 목사같지 않은 목사들이 날뛰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만약, 어느 유명한 스님이 우리나라 목사들은 빨리 부처를 믿어야 한다, 기독교가 들어간 나라는 다 못산다라는 극언을 서슴지 않았다면 이 땅의 개신교도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아마 사찰마다 난리가 났을 것이다. 안 봐도 비디오 아닌가.

성숙한 종교인들은 다른 이들의 종교도 부정하지 않는다. 올라가는 길은 조금씩 다르지만 (많이 다른 것도 아니다) 그 정상에서는 다 만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다른 이들의 종교를 부정하는 자들은 자신의 종교도 부정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예수의 가르침이고, 부처의 가르침이며, 공자의 가르침이다.

지역과 이념과 계급 갈등으로 시달려온 이 한반도에 종교 갈등이라는 또다른 갈등이 추가되었다. 불과 6개월만에 이 나라는 끝모를 나락으로 끊임없이 추락하고 있다. 이미 예견되었던 일이라 놀랍지도 않다.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다시 희망을 세워나가냐는 것이다. 절망이 깊어지면, 다시 희망이 찾아 올 것인가.

깨달음의 경지

깨달음의 경지

달라이 라마의 용서를 읽을 때도 느꼈지만,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 분들이 주시는 말씀은 한결같다. 성철 스님의 법문 중 다음과 같은 말씀은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보게 한다.

천하에 가장 용맹스러운 사람은 남에게 질 줄 아는 사람이다. 무슨 일에든지 남에게 지고 밟히는 사람보다 더 높은 사람은 없다. 나를 칭찬하고 숭배하고 따르는 사람들은 모두 나의 수행을 방해하는 마구니이며 도적이다. 중상과 모략 등 온갖 수단으로 나를 괴롭히고 헐뜯고 욕하고 괄시하는 사람보다 더 큰 은인은 없으니, 그 은혜를 갚으려 해도 다 갚기 어렵거늘 하물며 원한을 품는단 말인가? 칭찬과 숭배는 나를 타락의 구렁으로 떨어뜨리니 어찌 무서워하지 않으며, 천대와 모욕처럼 나를 굳세게 하고 채찍질하는 것이 없으니 어찌 은혜가 아니랴? 항상 남이 나를 해치고 욕할수록 그 은혜를 깊이 깨닫고, 나는 그 사람을 더욱더 존경하며 도와야 한다. 이것이 공부인의 진실한 방편이다.

[원택, 성철스님 시봉이야기, 김영사]

이런 말씀을 접할 때마다 궁금해지는 것은 우리가 베풀 수 있는 용서의 한계다. 무조건적인 용서를 말씀하신 것인지 아니면 내가 상식선에서 생각하고 있는 회개와 반성이 전제된 용서인지 그런 것들을 여쭤보고 싶다. 성철 스님이 1982년 부처님 오신날 주신 법어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부처님은 이 세상을 구원하러 오신 것이 아니요, 이 세상이 본래 구원되어 있음을 가르쳐 주려고 오셨습니다.

세상은 본래 구원되어 있을지도 모르지만, 범인들은 알지 못하고 알려 하지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