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부음

빈소

빈소

나이 어린 후배가 세상을 등졌다는 소식이 들렸다. 사업이 잘 된다고 해서 그런 줄만 알았는데, 실상은 아니었나 보다. 그가 짊어졌던 절망의 무게가 쓸쓸하고 안쓰러웠다.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선배는 초라한 변명조차 하지 못한 채, 그저 황망한 마음으로 빈소를 찾을 뿐이다.

영정 속 그의 모습은 꽃다운 청년이었다. 딸의 통곡 소리가 장례식장에 번졌다. 문상객들은 아무 말도 못하고 고개만 숙였다. 먼저 떠난 후배의 명복을 빌 뿐, 어떤 위로도 위로가 되지 못하고 허공에 흩어졌다. 다음 생에서는 부디 행복하길 빌어 보는데, 그것조차 부질 없었다.

노회찬, 그의 명복을 빌며

노회찬, 그의 명복을 빌며

몹시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있다. 햇볕이 정수리에 내리꽂히고, 바람 한 점 없다. 사방에서 열기가 올라와 숨이 막힌다. 이렇게 더운 날, 걸출한 진보정치인 노회찬이 스스로 세상을 등졌다. 충격과 슬픔이 뒷통수를 쳤다. 4천만원을 친구에게 받아 적법한 후원금 처리를 하지 않은 실수. 분명 실수이거나 또는 방심이었을 것이다. 그는 그 실수 내지는 방심을 죽음으로 갚았다. 허망했다. 차라리 처음부터 인정하면 어땠을까? 물론 하이에나 같은 쓰레기 언론들이 가만 놔두지 않았을 것이다. 그냥 정치를 그만 두고 초야에 묻혀 사는 것이 더 낫지 않았을까? 특검 소환을 앞두고 죽음을 결심하며 외로웠을 그의 마음을 짐작해 보면서도, 꼭 죽음으로 명예를 지키고 진보 진영을 지켜야 했는지 안타까운 마음 금할 수 없다. 그의 부음 앞에선 모든 것이 부질없었다. 하지 말아야할 특검으로 아까운 사람만 먼저 보내고 말았다. 삶이란 이런 어처구니 없는 상황의 연속일 수 있다는 사실에 웃지도 울지도 못한다. 노회찬 의원의 명복을 빈다. 당신의 정치적 주장에 늘 동의한 것은 아니지만, 당신이 있음으로해서 우리는 더 나은 세상에 살고 있다. 부디 저 세상에서는 조금은 더 자신에게 관대하길 바란다. 당신은 그래도 괜찮다. 고맙습니다. 이제는 편히 쉬십시오.
넬슨 만델라 (Nelson Mandela)

넬슨 만델라 (Nelson Mandela)

넬슨 만델라

오늘 또 하나의 위대하고 아름다운 영혼이 지구별을 떠났다. 그의 부음을 듣고, 그가 남긴 흔적을 살핀다. 그의 명복을 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things is not to change society – but to change yourself.”

“Man’s goodness is a flame that can be hidden but never extinguished.”

“No one is born hating another person because of the color of his skin, or his background, or his religion. People must learn to hate, and if they can learn to hate, they can be taught to love, for love comes more naturally to the human heart than its opposite.”

스티브 잡스 (Steve Jobs)

스티브 잡스 (Steve Jobs)

Steve Jobs
Steve Jobs (1955-2011)

세상을 바꾸려던 천재들은 늘 그렇게 일찍 세상을 등졌다.

오늘 스티브 잡스가 세상을 떠났고, 나는 그가 만든 아이폰으로 그의 부음을 들었다.

명복을 빈다.

부음(訃音)

부음(訃音)

인간들의 역사가 문자로 기록된 이후 세상은 언제나 말세였고, 인간들은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을 기다려 말세인 세상을 구원해주길 간절히 기도했다. 때때로 후세에 성인이라 일컬어지는 걸출한 사람들이 나타났지만 인간들은 그들의 가르침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그들을 저주하여 죽였다.

어느 시대든 그 시대의 절망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등지는 이들이 나타났다. 세계화된 자본주의(라고 부르기에도 민망하지만)가 판을 치는 세상에서 꽃같은 젊은이들이 매일매일 스스로 세상을 등졌다. 가장 아름다워야 할 시기에 그들은 절망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젊은 시절, 기성세대들의 탐욕을 욕했던 젊은이들도 나이가 들자 그들의 부모를 닮기 시작했고, 그들의 아이들을 절망의 구렁텅이에 몰아넣었다. “이게 다 너를 위한 거야” 말도 안되는 변명을 뇌까리면서 아이들을 무한 경쟁의 정글로 몰아넣었다. 그런 상황을 견디지 못한 아이들 중 가장 감수성이 예민한 아이들부터 죽어나갔다.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는 영화 제목으로만 의미가 있었다.

그러거나 저러거나 나보다 나이 어린 이들의 부음(訃音)을 받을 때만큼 고역스런 일이 없다. 그들의 죽음에 공범 아닌 공범으로 그리고 기성세대로서 일말의 책임을 느끼기 때문이다. 자식을 앞세운 부모만큼 불쌍한 사람들이 있을까. 그야말로 지울 수 없는 상처라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자기 손으로 자기가 낳은 자식의 장례를 치르는 것이다.

아이들은 세상에 절망하여 세상을 뜨고, 부모들은 먼저 간 자식들을 생각하며 절망한다. 운 좋게도 아직 그런 상황을 직접 경험하지 못한 부모들은 여전히 자식을 위한다며 그들을 죽음의 경쟁으로 몰아넣는다. 이런 말도 안되는 절망의 악순환은 중단되지 않는다.

섬진강의 매화와 진해의 벚꽃이 만개하여 이 조그마한 땅 한반도에 온통 꽃향기 휘날릴 때에, 어떤 아이들은 어디선가 혼자 세상을 떠날 채비를 하고 있을 것이다. 이 아름다운 봄에 슬픈 그들을 위해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