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어제는 작심하고 하루종일 TV 앞에 앉아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을 보았다. 직접 워싱턴에 가볼까 생각도 해봤지만, 날씨도 춥고 사람이 너무 많을 것 같아 일찌감치 TV로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을 지켜보기로 했다.

오바마를 지지하든 그를 지지하지 않든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것이 있다. 바로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라는 것. 링컨이 노예해방선언문에 서명한지 정확히 146년만에,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바로 그 링컨기념관 앞에서 그 역사에 남을만한 연설인 “I have a dream”을 외친지 46년만에 현재 세계 초강대국이라는 미국에서 첫 흑인 대통령이 탄생했다.

흑인이 아닌 나도 이렇게 가슴이 벅차오르는데, 정작 흑인들은 어떻겠는가. 수백년동안 노예로 비천한 삶을 살았고, 아직도 보이지 않는 차별로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그들은 모두 감격의 눈물을 흘리면서, 말을 잇지 못했다.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은 그들에게 있어 제2의 해방을 의미했다.

1963년 8월 28일, 마틴 루터 킹 목사는 링컨 기념관 앞에서 이렇게 사자후를 토했다.

I have a dream that one day this nation will rise up and live out the true meaning of its creed: 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I have a dream that one day on the red hills of Georgia the sons of former slaves and the sons of former slave owners will be able to sit down together at the table of brotherhood.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n the state of Mississippi, a stat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injustice, sweltering with the heat of oppression, will be transformed into an oasis of freedom and justice.

I have a dream that my four little children will one day live in a nation where they will not be judged by the color of their skin but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down in Alabama, with its vicious racists, with its governor having his lips dripping with the words of interposition and nullification; one day right down in Alabama little black boys and black girls will be able to join hands with little white boys and white girls as sisters and brothers. I have a dream today!

I have a dream that one day every valley shall be exalted, and every hill and mountain shall be made low, the rough places will be made plain, and the crooked places will be made straight, and the glory of the Lord shall be revealed and all flesh shall see it together.

<마틴 루터 킹, “I have a dream” 연설 중에서>

그리고, 46년이 지난 2009년 1월 20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링컨 기념관 맞은 편에 있는 국회의사당 앞에서 대통령 취임 연설로 이렇게 화답했다.

The time has come to reaffirm our enduring spirit; to choose our better history; to carry forward that precious gift, that noble idea, pass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God-given promise that all are equal, all are free, and all deserve a chance to pursue their full measure of happiness.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연설 중에서>

사람은 피부 색깔에 관계 없이, 가진 것에 관계 없이 모두 평등하다는 진리, 자유롭다는 진리, 그리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는 진리가 링컨이 노예해방을 선언한지 150여년만에 그리고 킹 목사가 외친지 50여년만에 오바마에 의해 실현되어지려는 순간이다.

지금 미국은 경제 문제를 비롯해서 수많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동안 미국이 세계 초강대국으로서 엄청난 권력을 휘둘러왔지만, 그들은 탐욕스러웠고, 겸손하지 못했으며, 때로는 무자비했다. 촘스키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야말로 통제되지 않는, 통제할 수 없는 수퍼 불량 국가였던 것이다. 이제 그 미국이 자신들의 탐욕으로 인한 엄청난 위기에 봉착하고 말았다. 그리고 그들은 새로운 지도자로 오바마를 택했다.

오바마가 미국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적어도 그는 그 전의 미국 지도자들 보다는 조금은 더 도덕적이고, 조금은 더 진보적일 것이라는 기대는 있다. 그가 제시한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책들을 보면 그가 적어도 건전한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Our challenges may be new. The instruments with which we meet them may be new. But those values upon which our success depends — hard work and honesty, courage and fair play, tolerance and curiosity, loyalty and patriotism — these things are old. These things are true. They have been the quiet force of progress throughout our history. What is demanded then is a return to these truths. What is required of us now is a new era of responsibility — a recognition, on the part of every American, that we have duties to ourselves, our nation and the world, duties that we do not grudgingly accept but rather seize gladly, firm in the knowledge that there is nothing so satisfying to the spirit, so defining of our character, than giving our all to a difficult task.

열심히 일하기, 정직, 용기, 선의의 경쟁, 관용, 호기심, 성실, 그리고 애국심. 결국 인간이 가치를 생산해낼 수 있는 무기들은 우리가 이미 너무도 잘 알고 있는 기본들이다. 그는 그의 취임 연설에서 그 기본을 강조했다.

비주류가 대통령이라는 권력의 최고 정점에 오르기 위해서는 주류보다도 더 도덕적이어야 하며, 더 똑똑해야 하며, 더 정직해야 하며, 더 열심히 일해야 하며, 더 잘생겨야 하며, 더 말을 잘해야 한다. 게다가 하늘도 도와야 한다. (미국의 경제 위기가 터지지 않았더라면 오바마가 아무리 훌륭한 자질이 있다 하더라도 대통령이 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오바마가 미국 대통령이 된 것은 미국 국민들 뿐만 아니라 전세계 민중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좋은 일일 것임이 분명하다. 그의 통치 아래서 미국이 지금보다는 조금 더 도덕적이고 조금 덜 탐욕적이길 기도한다. 오바마가 킹 목사의 꿈을 한발 한발 이루어가길 기도한다.

오늘 같은 날 듣고 싶은 노래

오늘 같은 날 듣고 싶은 노래

11월 늦가을의 햇살은 여전히 따사롭고, 하늘은 더없이 푸르고 푸르다. 모과나무에 노란 모과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오렌지색으로 물드는 메타세콰이어 나무와 노란 은행나무들이 바람에 한들거린다. 고요하고 평화롭다.

미국은 오바마의 당선으로 변화와 희망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한국은 여전히 수렁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그러거나 말거나 가을은 조용히 깊어가고 있다. 문득 듣고 싶어지는 노래. 요즈음 나의 화두는 “꿈”이 되어버렸다. 가을날의 평화로운 꿈. 맑고 소박하고 가벼웁게 살자는 꿈.

Imagine there’s no Heaven
It’s easy if you try
No hell below us
Above us only sky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for today

Imagine there’s no countries
It isn’t hard to do
Nothing to kill or die for
And no religion too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life in peace

You may say that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
I hope some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be as one

Imagine no possessions
I wonder if you can
No need for greed or hunger
A brotherhood of man
Imagine all the people
Sharing all the world

You may say that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
I hope some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live as one

<John Lennon, Imagine>

어머니를 사로잡은 남자

어머니를 사로잡은 남자

지난 여름 은퇴를 하신 어머니는 이미 환갑을 넘기셨지만, 아직까지도 마음 가득히 동심을 품고 계신다. 그동안 고생도 많이 하셨지만, 아직 육십대라고 하기엔 너무 젊고 건강하시다. 말없이 보여주신 어머니의 삶은 내가 평생 보고 배워야할 내 인생의 교과서 같은 것이었다. 그러고보면 나는 참 운이 좋은 녀석이다. 정말 좋은 어머니를 만났고, 정말 좋은 아내를 만났으며, 정말 예쁘고 사랑스러운 딸을 만났으니 말이다.

지난 주말 어머니는 뜬금없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나는 왜 젊은 애들이 연예인을 보고 ‘오빠’, ‘오빠’ 하면서 난리치는지 이제야 알 것 같다.” 어머니도 드디어 오빠부대에 합류를 하신 것이다. 도대체 나이 육십을 넘긴 할머니 – 물론, 어머니는 할머니라고 불리기엔 너무 젊으시다 – 를 사로잡은 녀석이 누구란 말인가?

그는 연기자 김명민이었다. 어머니는 그를 처음 본 것이 “불멸의 이순신” 때였다고 말씀하셨다. 어머니의 표현에 따르면, 진짜 이순신보다도 더 이순신 같이 연기를 했다는 그 배우. 어머니는 김명민이 나오는 드라마를 거의 다 봤다고 하셨다. 하얀거탑의 장준혁을 거쳐 요즘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베토벤 바이러스”까지 그의 연기는 어머니 말씀마따나 더할나위 없이 무르익고 있었다.

꿈? 그게 어떻게 니 꿈이야? 움직이질 않는데.
그건 별이지.
하늘에 떠 있는, 가질 수도 없는, 시도조차 못하는,
쳐다만 봐야 하는 별!
누가 지금 황당무계 별나라 얘기하재?

니가 뭔갈 해야 될 거 아냐?
조금이라도 부딪치고, 애를 쓰고,
하다 못해 계획이라도 세워봐야
거기에 니 냄새든 색깔이든 발라지는 거 아냐?
그래야 니 꿈이다 말할 수 있는 거지.

아무거나 갖다 붙이면 다 니 꿈이야?

그렇게 쉬운 거면, 의사, 박사, 변호사, 판사
몽땅 다 갖다 니 꿈하지 왜?

꿈을 이루라는 소리가 아냐.
꾸기라도 해 보라는 거야.

사실 이런얘기 다 필요없어.
내가 무슨 상관 있겠어. 평생 괴로워할 건 넌데.

난 이정도 밖에 안되는 놈이구나, 꿈도 없구나,
꾸지도 못했구나, 삶에 잡아 먹혔구나.
평생 살면서 니 머리나 쥐어 뜯어봐.

죽기 직전이 되어서야 ‘지휘’?
단발마의 비명 정도 지르고 죽던지 말던지

어머니를 사로잡은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는 지금 나에게 “꿈”이란 무엇인지를 말해주고 있다. 꿈이란 그냥 하늘에 있는 별이 아니라고. 무언가를 해야 그것이 나의 꿈이 될 수 있다고. 그렇다면 나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강마에. 너는 나의 어머니를 사로잡을만한 녀석임을 인정한다.

아이들이 세상에 온 까닭

아이들이 세상에 온 까닭

별은
캄캄한 밤이라도
환한 낮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며 반짝인다네

꽃들이 피는 것은
웃음을 퍼뜨리기 위해서지

바람이 불어오는 까닭은
먼 곳에서도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하루하루 부지런히 일하며 살고 있다는 것을
들려주기 위해서라네

아이들이 세상에 온 까닭은 뭘까

꽃들은 말한다네
웃기 위해서라고
별들은 말하지
꿈꾸기 위해서라고

마음 속 깊은 곳에 바람같은
아이 하나가 뛰놀고 있는 어른들은
말해 주어야 하네

‘얘들아,
너희들은 웃고 꿈꾸고 놀기 위해
이 세상에 왔단다’라고…

<편해문, 아이들이 세상에 온 까닭>

아이들은 웃고, 까불고, 꿈꾸고, 놀기 위해 왔는데,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왔는데, 정작 이 땅의 아이들은 웃음을 잃어가고, 꿈을 잃어 가고, 노는 법을 잊어버리고 있다. 처질대로 처진 어깨와 창백하다 못해 회색빛이 도는 얼굴로 행복이 무엇인지 단 한 번 느껴보지 못하고 경쟁의 정글로 내몰리고 있다.

“학생들이 공부하다 죽었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다”고 게거품을 무는 철면피들이 있는 한 우리 아이들의 웃음과 꿈과 행복은 사라질 것이다. 우리들은 아이들에게 너무나 많은 죄를 짓고 있다.

아이들에게 너무 미안하고 면목이 없는 나날들이다.

너무 서두르지 마, 견디기 힘이 들 때면

너무 서두르지 마, 견디기 힘이 들 때면

장혜진의 <내게로>는 내가 좋아하는 노래다. 곡도 좋고 노래도 잘 하지만, 무엇보다 가사가 심금을 울린다.

너무 서두르지 마 견디기 힘이 들 때면
애써 따라오려 하지말고 오히려 더 천천히

한 사람이 열 발자국 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열 사람이 함께 한 발자국 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는 노래다. 경쟁에 지쳐 버려 인생의 가장 좋은 시절을 암울하게 보내고 있을 우리나라의 불쌍한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삶이 단거리 경주가 아님에도 회색인간들이 정해놓은 그 길에서 낙오해서는 안된다는 생각때문에 기계처럼 공부하는 아이들. 그 길에서 한 발 앞서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음에도 이 사회는 그것을 강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삶의 소중한 가치를 제대로 전해 주지 못하는 사회에서 이 노래는 단비처럼 촉촉히 우리의 귀를 적신다.

모든 것은 회색인간 어른들의 100% 잘못이다. 아이들의 꿈을 빼앗는 회색인간들 때문이다.

너무 서두르지마 견디기 힘이 들 때면
애써 따라오려 하지말고 오히려 더 천천히
그래 그렇게 다가와 내가 여기에서 기다릴께

숨이 찰땐 걸어오렴 힘이 들며 그랬던 것처럼
앞으로도 우린 아주 먼길을 가야만 해 서두르지마

함께 걸어가는 것 그것이 내겐 소중해
조금 늦는것쯤 상관없어 내가 지쳐있을때
네가 기다려준것처럼 내가 여기있어 힘을 내봐

숨이 찰땐 걸어오렴 힘이 들때 그랬던 것처럼
앞으로도 우린 아주 먼길을 가야만 해 서두르지마

걱정마 기다리고 있어 이젠 멀지 않아
조금만 더 힘을 내
내가 너의 두팔을 잡아줄수 있도록

숨이 찰땐 걸어오렴 힘이 들때 그랬던 것처럼
앞으로도 우린 아주 먼길을 가야만해 서두르지마

<장혜진, 내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