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바라보는 시선, 그것은 연민
지난 번 중국 출장 때 우연히 북한에서 운영하는 식당에 갔었다. 단아한 치마저고리를 입은 젊고 아리따운 여인들이 분주히 움직이며 손님들의 주문을 받고 있었고, 식당 한켠에 마련된 무대에서는 작은 공연이 진행되고 있었다. 무대 위의 가수와 무희들은 다루지 못하는 악기가 없었고, 추지 못하는 춤이 없었다. 그들의 공연은 흥겨웠지만,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먹먹함이 깔려 있었다.
북한을 지배했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17일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수천년 지속될 것 같은 그 권력도 죽음 앞에서는 너무나 공평하였다. 예수나 붓다 같은 성인들도, 수백만명의 유태인을 학살한 히틀러도, 북한의 위대한 수령이라 불린 김일성과 그의 아들 김정일도 죽음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아무리 엄청난 돈이나 권력이라도 죽음의 관문을 통과하는 순간 무상해진다. 그것은 돈이나 권력, 또는 명예가 삶의 본질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인간들은 그것들이 삶의 궁극적인 목표인양 어제도 달리고 오늘도 달린다. 그 욕심을 버리지 못하면 어리석음에서 헤어나올 수 없다.
언젠가도 얘기했듯이, 북한은 사회주의를 표방한 봉건주의 국가다. 북한을 지배하는 권력은 김일성에서 아들 김정일에게로 세습되었다. 김정일이 죽자 김정일의 아들인 김정은이 권력의 후계자로 나섰다. 무늬는 인민민주주의이지만, 그 본질은 김씨왕조라고 할 만하다. 북한은 그들의 체제와 자주성을 수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다라고 말할 지 모르지만, 그것이 북한 인민들의 현재 상태를 변명하기에는 너무나 초라해 보인다.
김정일의 공개된 시신을 보면서 중국으로 외화벌이를 떠난 아리따운 북한 처녀들의 쓸쓸한 미소가 떠올랐다. 그 쓸쓸한 미소 속에서 그들을 바라보아야 할 시선이 증오나 적대감이 아닌 연민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북한의 3대 세습과 남한의 친일독재세력의 권력 독점은 이란성 쌍둥이다. 남북한 민중들의 고난과 역경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들의 운명을 좌우하는 것은 그들에게 주어진 매트릭스를 어떻게 깨고 나오느냐, 아니 그것을 깨달을 수 있느냐가 하는 것이다.
김정일의 사망과 후계자 김정은의 등장은 북한의 인민들이 처한 현실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다. 그리고 그것은 여전히 고통받고 있는 남한 민중들의 또다른 자화상이다. 그들을 연민하고 스스로를 연민한다.
한반도에 봄은 언제나 올 것인가. 답답한 겨울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