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Tag: 구당

무극보양뜸

무극보양뜸

무극보양뜸은 구당 김남수 선생이 옛 의서에 기록된 거의 모든 뜸술을 수십 년간의 임상을 통해 검증하여 만들어낸 뜸법이다. 이것은 8개의 경혈(남자 12자리, 여자 13자리)에 쌀알 반톨 크기로 매일 한 자리에 3~5장씩 뜸을 뜨는 것으로, 병의 유무와 상관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생활양생법이다.

무극(無極)은 우주의 생성과 운행의 원리를 나타내는 태극(太極) 이전의 보다 근원적인 상태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구당 선생의 뜸법에 무극이란 이름을 붙인 까닭은 무극보양뜸이 건강의 근원을 밝혀 놀라운 효능을 나타내는 뜸술이기 때문이고, 시술의 간편함으로 모든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양(保養)은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소화시키는 것이 건강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개념임을 나타낸다. 무극보양뜸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바로 “잘 먹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극보양뜸에서는 비위를 보양하는 중완(中脘), 곡지(曲池), 족삼리(足三里)를 중요하게 여긴다.

나머지 5개 경혈은 비위를 제외한 나머지 오장육부를 보양한다. 남성의 경우, 기해(氣海)와 관원(關元)은 생명과 생식의 근원인 신장 기능을 강화한다. 여성은 월경을 하는 생리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방광과 자궁에 관계되는 중극(中極)와 수도(水道)를 사용한다.

호흡기 기능을 강화하는데 폐유(肺兪),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몸 속 깊은 병을 치료하는데 고황(膏肓), 마지막으로 심신의 기능을 강화하는데 백회(百會)를 각각 사용한다.

무극보양뜸은 음양의 이치로 상하, 전후, 좌후의 경혈을 배합하여 음양의 균형을 이루고자 하였다. 또한 오행의 이론에서 보면, 중앙의 토(土)를 관장하는 중완을 중심으로 좌우 사방으로 뻗어나간 팔다리의 곡지와 족삼리는 목(木), 화(火), 금(金), 수(水)의 작용으로 볼 수 있다.

무극보양뜸의 혈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백회(百會)
  • 폐유(肺兪)
  • 고황(膏肓)
  • 중완(中脘)
  • 곡지(曲池)
  • 족삼리(足三里)
  • 기해(氣海), 관원(關元): 남자
  • 중극(中極), 수도(水道): 여자
뜸의 효능

뜸의 효능

무극보양뜸의 창시자 구당 김남수 선생은 뜸의 효능을 다음과 같이 9가지로 정리했다.

  1. 세포 기능 활성: 병이 든 곳에 뜸을 뜨게 되면 뜸뜬 곳의 조직 세포는 일시적으로 파괴되지만, 파괴된 세포에 생성된 이종단백체가 세포 내로 재흡수되어 주변 세포의 활동을 더욱 활성할뿐만 아니라 병의 예방과 아울러 치료 기능을 증대시킴.
  2. 혈액 순환 개선: 뜸은 심장에 힘을 더하여 혈액과 림프액의 흐름을 개선하고 전신의 순환을 조절함.
  3. 혈액 성분 개선: 뜸은 적혈구와 백혈구가 증가시키고, 지혈작용과 면역작용이 있으며 혈액의 산성화를 방지함.
  4. 호르몬 분비 조절: 뜸은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
  5. 신경 기능 조절: 뜸은 내장, 순환계, 내분비계 등의 기능을 반사적으로 조절하고 자율신경실조증에 유용함.
  6. 근육 피로 회복: 피로의 원인은 젖산에 의한 글리코겐 분해의 결과인데, 뜸은 이 피로물질인 젖산을 흡수하는 작용이 있음.
  7. 내장 기능 활성화
  8. 진통작용: 통각신경의 통증 인지기능을 중단 또는 약화시켜 일시적 진통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조직기관의 기혈 부조화로 인한 통증은 즉시 조화롭게 하여 근원적으로 치료함.
  9. 전조작용: 전조작용은 몸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뜸은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 체중 증감, 감정 변화, 수면습관 개선, 허약체질 개선, 월경불순 개선, 배변습관 개선, 마비 회복, 그리고 못, 혹, 티눈에 효과가 있음.

<김남수, 무극보양뜸, 2014, pp. 38-47>

무극보양뜸의 유일한 단점은 좀 귀찮다는 것인데, 매일 30분 정도 시간을 내서 뜸을 뜨면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