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Category: Reading

놓아버림

놓아버림

지난 해 읽었던 책 중 가장 좋았던 책을 꼽으라면, 단연코 데이비드 호킨스 박사의 <놓아버림: 내 안의 위대함을 되찾는 항복의 기술>이다. 이 책은 자유로운 존재가 되기 위한 그 단순한 방법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참나’를 찾고자 애쓰는 이들과 생의 고통으로 잠못이루는 이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호킨스 박사가 말하길 “인생이란 본디 마음 속에서 겁내거나 기대하는 바를 투사해 세상에 덮어씌우고는 거기서 벗어나려고 긴 시간 동안 이리저리 애쓰는 일(If we take a close look at human life, we see that it is essentially one long elaborate struggle to escape our inner fears and expectations that have been projected upon the world.)”이라고 했다. 두려움과 욕망에서 벗어나 모든 것을 훌훌 털어버리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거칠 것이 없다.

다음은 <놓아버림>에서 설명하는 의식의 법칙들이다.

  • 감정이 쌓여 생긴 압력으로 인해 생각이 일어난다.
  • 저항 때문에 감정이 지속되는 것이다.
  • 자각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우리 내면에는 “내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나는 이미 알고 있다”라는 진실이 있다.
  • 내가 나를 보는 대로 세상이 나를 볼 수밖에 없다.
  • 자기에게 어떤 부정적 생각이나 믿음이 적용된다고 의식적으로 말하면, 실제로 그 영향 하에 놓인다.
  • 마음에 품은 대로 실현되기 쉽다.
  • 공포는 사랑으로 치유하는 것이다.
  • 보호하기 위해 똑같이 하는 일이라도, 공포 때문이 아니라 사랑하는 마음에서 할 수 있다.
  • 소유하거나 행하는 수준에서가 아니라 존재하는 수준에서 힘과 에너지가 가장 크다.
  • 요구를 멈추면 원하는 바를 얻는다.
  • 사랑은 우주를 지배하는 궁극의 법칙이다.
  •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이 들면 곧바로 몸이 약해지며, 몸에 흐르는 에너지의 균형이 깨진다.
  • 우리는 스스로 마음에 품은 것에만 영향을 받는다.
  • 의식이 달라지지 않으면 스트레스는 줄지 않는다.
  • 답을 찾지 말고, 문제 이면의 감정을 놓아 버려라.
  • 놓아버림의 목표는 모든 괴로움과 아픔의 근원 자체를 없애는 것이다.
  •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하거나 드러내 보여 주었는지와 상관없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은 항상 타인에게 영향을 주어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인간관계는 전반적으로 마치 상대방이 내 마음속 감정을 알아차리고 있는 듯이 진행된다.

놓아버림, 데이비드 호킨스

품위있게 늙는 법

품위있게 늙는 법

조지 베일런트(George E. Vaillant)가 쓴 <행복의 조건(Aging Well)>은 하버드 대학생 268명의 70년간 인생을 추적한 인생성장보고서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 나오는 “품위있게 나이 드는 법”에 대한 내용은 한 번쯤 음미해 볼만하다.
  1.  다른 사람을 소중하게 보살피고, 새로운 사고에 개방적이며, 신체건강의 한계 속에서도 사회에 보탬이 되고자 노력한다.
  2. 노년의 초라함을 기쁘게 감내할 줄 알고,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며, 그 사실을 품위있게 받아들인다.
  3. 언제나 희망을 잃지 않고,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늘 자율적으로 해결했으며, 매사에 주체적이다.
  4. 유머감각을 지니고, 놀이를 통해 삶을 즐길 줄 안다. 삶의 근본적인 즐거움을 위해 겉으로 드러나는 행복을 포기할 줄 안다.
  5. 과거를 되돌아볼 줄 알고, 과거에 이루었던 성과들을 소중한 재산으로 삼는다. 호기심이 많고, 다음 세대로부터 끊임없이 배우려고 노력한다.
  6. 오래된 친구들과 계속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사랑의 씨앗은 영원히 거듭해 뿌려져야 한다”는 금언을 늘 가슴에 새긴다.
이 땅의 품위있는 노인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 품위있는 노인들을 보고 싶다.
시간은 있다

시간은 있다

라마 수리야 다스가 말하는 시간과 친구되는 10가지 방법이다.

  1. 모든 생각과 걱정, 계획, 염려, 집착을 흘려보내면서 호흡 안에서 편하게 쉬어라. (Rest in the breath while letting go of all thoughts, concerns, plans, worries, and preoccupations.)
  2. 바로 지금 느끼는 신체적 느낌을 알아차려라. (Be mindful of the physical sensations you feel right now.)
  3. 당신의 발아래 또는 지금 앉아 있는 의자를 받쳐 주는 건강한 지구를 느껴라. (Feel the good earth beneath your feet or the seat that cradles you.)
  4. 염불을 하거나 신성한 구절을 반복해 읊되, 오롯이 집중해 되뇌이라. (Chant a mantra or sacred phrase again and again, with pure, undivided concentration and focus.)
  5. 다른 존재와 시선을 맞추고, 당신과 함께하는 그 누구에게라도 자비와 사랑을 베풀라. (Make eye contact with another being, and feel compassion and loving-kindness for whomever you are with.)
  6. 만나는 사람들에게 미소 짓고, 안아 주고, 그들을 도와주어라. (Smile at someone, hug someone, or help someone.)
  7. 밖으로 나가 하늘, 구름, 나무, 꽃, 물줄기, 손에 잡히는 흙 등 위대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모든 것과 접해 보라. (Go outside and make contact with nature through the sky, clouds, trees, a flower, a body of water, the earth between your fingers, or any other manifestation of the magnificent natural world.)
  8. 전 세계 지혜의 전통과 경전에서 신성한 말씀을 읽어라. (Read sacred words from the world’s wisdom traditions and scriptures.)
  9. 호흡하고, 신성한 멈춤인 ‘영광스러운 휴식’을 취하라. 안식년을 갖거나 하루에 단 한 시간이나 두 시간이라도 상관없다. 매일 할 수 없다면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해 보라. (Take a break, a sacred pause, an “honorable rest” – whether for Sabbath or just for an hour or two – at least once a week, if not every day.)
  10. 음악을 듣고, 노래 부르고, 춤을 추고,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기도하고 즐겨라. (Listen to music, sing, dance, create, pray, and play.)

<라마 수리야 다스, Buddha Standard Time, 2011>

이제 숨을 쉬고, 미소 짓고, 그리고 편히 쉬어 보자. (Now breathe, smile, and relax…)

당신에게 시간은 있다. (You have time.)

창의성, 야누스의 얼굴

창의성, 야누스의 얼굴

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이에 의하면, 창의적인 사람들은 복합적인 성향을 띈다고 한다. 복합적 성향이란 양극 사이의 중립이나 평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 아무 갈등없이 양극을 달릴 수 있는 성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로 반대되는 특성들을 함께 갖고 있는 것이다.

칙센트미하이는 창의적인 사람들의 열 가지 양면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 창의적인 사람들은 대단한 활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또한 조용히 휴식을 취한다.
  2. 창의적인 사람들은 명석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천진난만한 구석이 있다.
  3. 창의적인 사람들은 장난기와 극기 또는 책임감과 무책임이 혼합된 모순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
  4. 창의적인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상상과 공상, 또 한편으로는 현실에 뿌리박은 의식 사이를 오고간다.
  5. 창의적인 사람들은 외향성과 내향성이라는 상반된 성향을 함께 갖고 있는 듯하다.
  6. 창의적인 사람들은 매우 겸손하면서 동시에 자존심이 강하다.
  7. 창의적인 사람들은 어느 정도 전형적인 성의 역할에서 벗어나 있다.
  8. 창의적인 사람들은 반항적이고 개혁적이면서 동시에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
  9. 창의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일에 매우 열정적인 동시에 객관적이 될 수 있다.
  10. 창의적인 사람들은 개방적이며 감성적인 성향으로 인해 종종 즐거움뿐 아니라 고통과 역경을 겪는다.

<칙센트미하이, 창의성의 즐거움, pp. 69-91>

창의적인 사람들은 야누스의 얼굴을 지닌다. 로마 신화에서 야누스는 문의 신이기도 하지만, 시작과 변화를 상징하기도 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을 위해 문을 여는 사람들이며, 기존의 것을 새롭게 변화시키는 사람들이다.

야누스의 얼굴

창의성과 관련된 책들

창의성과 관련된 책들

최근 관심사는 창의성(Creativity)인데, 이것과 관련된 책들을 몇 권 읽었다. 과연 창의성은 배울 수 있는 것인지, 창의성이 발현되려면 어떤 환경이어야 하는지, 이런 것들이 궁금했다.

  1. 창의성의 즐거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노혜숙 옮김, 북로드, 2003
  2.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박웅현, 알마, 2009
  3. 인재혁명, 조벽, 해냄, 2010
  4. 창의력에 미쳐라, 김광희, 넥서스BIZ, 2010
  5.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송인혁, 아이앤유, 2011
  6.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스티븐 존슨, 서영조 옮김, 한국경제신문사, 2012
  7. 트리즈 마인드맵, 오경철 안세훈, 성안당, 2012
  8. 메이커스, 크리스 앤더슨, 윤태경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2013
  9. 관찰의 힘, 얀 칩체이스 사이먼 슈타인하트, 야나 마키에이라 옮김, 위너스북, 2013
세 가지 즐거움

세 가지 즐거움

맹자는 진심(盡心) 편에서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는데,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끼지 못한다. 부모가 살아 계시며 형제들이 아무런 탈이 없는 것이 첫번째 즐거움이요, 우러러 봐도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 봐도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번째 즐거움이요, 천하에 뛰어난 인재들을 얻어서 가르치는 것이 세번째 즐거움이다.

맹자는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군자의 즐거움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 중 지금까지 두 가지 즐거움을 누리고 있으니, 그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般若心經)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아름답고도 거룩하신 지혜의 완성자께 예를 드린다.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 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이 지혜의 완성을 실천할 때
존재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에 실체가 없음을 보고
중생의 모든 괴로움과 재난을 건졌다.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물질적 현상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물질적 현상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며,
느낌과 생각과 의지 작용과 의식도 그와 같이 실체가 없다.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이 모든 존재의 실체가 없음은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그러므로 공에는 물질이 없고
느낌과 생각과 의지 작용과 의식도 없다.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과 의식도 없으며,
형체와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의식의 대상도 없으며,
눈의 영역도 없고 의식의 영역까지도 없다.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무명도 없고 무명이 다함도 없으며,
늙음과 죽음도 없고 늙음과 죽음의 다함까지도 없으며,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을 없앰과
괴로움을 없애는 길도 없으며,
지혜도 없고 얻음도 없다.

以無所得故 菩提薩埵 依般若波羅蜜多故 心無罣礙

얻을 것이 없으므로 보살은
지혜의 완성에 의지하여 마음에 걸림이 없다.

無罣礙故 無有恐怖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고
뒤바뀐 생각을 버리고 영원한 열반에 들어간 것이다.

三世諸佛 依般若波羅蜜多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이 지혜의 완성에 의지하여 최상의 깨달음을 얻는다.

故知 般若波羅蜜多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是無等等呪

그러므로 지혜의 완성은 가장 신비한 진언이며
가장 밝고 가장 높은 무엇에도 견딜 수 없는 진언이다.

能除 一切苦 眞實不虛

그것은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거짓이 없으므로
진실한 것임을 알아라.

故說 般若波羅蜜多呪 卽說呪曰

진언은 지혜의 완성에서 다음과 같이 말해진다.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가는 이여, 가는 이여, 피안으로 가는 이여,
피안으로 온전히 가는 이여, 깨달아지이다.)

어른들의 죄악 그리고 불안

어른들의 죄악 그리고 불안

서머힐 학교를 세운 진보적 교육자 알렉산더 닐(Alexander S. Neill)은 현대 문명의 죄악과 아이들의 자유를 빼앗는 어른들의 불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대 문명의 죄악은 어린이들을 마음대로 놀아보지도 못하게 하는 데서 생긴 결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든 어린이들은 사실상 어른이 되기 전에 이미 어른으로 길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어른이 어린이의 놀이에 대한 충동을 억제할 때의 원인은 한 마디로 불안 때문이다.

어린이의 장래를 염려하는 어른들의 불안이 어린이의 놀 권리를 빼앗도록 잘못 인도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소년 시절을 이제 더 이상 상기할 수도 없고, 스스로 만족스럽게 놀지도 못했으며, 상상의 날개를 마음껏 펴지도 못했던 부모들은 좋은 부모가 될 수 없다. 놀 능력을 상실한 어린이는 영혼이 죽었고, 그의 친구들에게는 하나의 위험이 된다.

[A. S. 닐, 서머힐]

이제 아이들이 노는 법도 학원에서 배워야 할 시대에 살고 있다.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인가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인가

언제부턴가 머리 속에서 맴돌던 물음 하나,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자 많이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교육의 목표는 무엇이고, 왜 가르치고 왜 배워야 하는지 고민했었다.

변산공동체학교를 세웠던 윤구병 선생은 교육의 목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교육의 궁극 목표는 두 마디로 이야기할 수 있다. 첫째는 스스로 제 앞가림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고, 둘째는 함께 어울려 사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 차례가 바뀌어도 괜찮다. 이 목표를 이루면 교육은 성공하는 것이다. 옛날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래야 마땅하다. 시대가 바뀌었다고, 사는 곳이 다르다고 이 궁극 목표가 달라질 수 있는가? 천만에!

<윤구병, 변산공동체학교>

윤구병 선생의 말씀에 비추어 보면, 스스로 제 앞가림을 하고, 다른 이들과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힘을 기르기 위해 배우는 것이다. 생의 절반을 학교에서 보냈어도 아직도 이 두 가지를 이루지 못했다. 그것은 이 땅의 교육이 제대로된 교육이 아니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리라.

스스로 일용할 곡식을 기르고, 스스로 아픈 몸을 다스릴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자연과 더불어, 뜻을 같이 하는 다른 이들과 더불어 같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넉넉한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인간이란 존재에게 배움이 필요하고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다른 곳에 있지 않다.

죽기 전까지 이 두 가지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이제 알았으니 힘써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스스로 자기 앞가림을 하고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어울려 살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말이다.

고래가 죽을 때는 혜성이 나타난다

고래가 죽을 때는 혜성이 나타난다

한나라 무제 때 (기원전 139년), 회남왕 유안이 집대성한 <회남자> 제3권 천문훈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불은 위로 타오르고 물은 아래로 흐른다. 그러기에 새는 높이 날고 물고기는 물 아래로 헤엄친다. 사물은 유유상종하고 본말이 상응한다. 그러므로 양수가 햇빛을 받으면 불이 일어나고, 대합이 달빛을 받으면 즙액이 흘러 물이 생긴다. 호랑이가 포효하면 동풍이 불고, 용이 하늘에 오르면 상서로운 구름이 모인다. 고래가 죽을 때는 혜성이 나타나며, 누에가 실을 토해내면 현악기의 상음을 내는 줄이 끊어지고, 유성이 떨어지면 발해에 해일이 일어난다.

<회남자, 김성환 역, 살림, p.225>

밤하늘에 혜성이 나타나면 심연에 머무르던 고래가 이 지구별에서 떠나가는 것이고, 기타를 치다가 줄이 끊어지면 실을 토해내는 누에들이 생각날 것이다.

얼마나 아름다운 구절들인지 한참을 생각하며 읽어보고 또 읽어보았다.

이 지구별에 있는 생명들은 모두 그렇게 이어져 있다. 무엇 하나 귀하지 않은 것이 없으니 인간들은 그저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하나됨으로 겸손해져야 할 것이다.

<회남자>는 확실히 <도덕경>이나 <장자>를 이을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