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d by
Author: 소요유

참나를 알기 위한 도구

참나를 알기 위한 도구

참나를 깨닫기 위한 단순하지만 강력한 도구.

“지금 잠깐 멈추고 숨쉬기.”

길고 깊게 숨 쉬고, 느리고 부드럽게 숨 쉬어라. 에너지가 가득하고 사랑이 가득한 삶, 그 삶의 부드럽고 달콤한 무(無)를 숨 쉬어라. 너희가 쉬는 숨은 신의 사랑이니, 깊이 숨 쉬어라. 그것을 느낄 수 있도록 아주아주 깊이 숨 쉬어라. 그 사랑이 너희를 울게 하리니. 기쁨에 겨워 울게 하리니.

<남우현, 죽음 그 이후, 지식과감정, 2022, p. 189>

하염없이

하염없이

국어사전에는 ‘하염없이’라는 말이 ‘시름에 싸여 멍하니 이렇다 할 만한 아무 생각이 없이’ 또는 ‘어떤 행동이나 심리 상태 따위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계속되는 상태로’라는 뜻으로 풀이되어 있다.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다가 ‘하염없이’라는 말에 꽂혔다.

“군사독재 정권 밑에서 교련선생이 뭐냐, 교련선생이. 죽은 느그 성이 무덤서 벌떡 일어나겄다.”

속엣말을 감추는 법이 없는 아버지가 만날 때마다 쏘아붙였더니 어느 날 박선생이 느닷없이 눈물을 쏟으며 말했다.

“상욱아. 너 하염없다는 말이 먼 말인 중 아냐?”

아버지는 말문이 막혔고 박선생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먹은 소주가 죄 눈물이 되어 나오는 것 같았다고. 생전 처음 취했던 아버지가 비틀비틀, 내 몸에 기대 걸으며 해준 말이다. 고2 겨울이었다. 자기 손으로 형제를 죽였을지도 모른다는 자책감을 안고 사는 이에게 하염없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열일곱 여린 감수성에 새겨진 무늬는 세월 속에서 더욱 또렷해져 나는 간혹 하염없다는 말을 떠올리곤 했다. 아직도 나는 박선생이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알지 못한다. 다만 하염없이 남은 인생을 견디고 있을, 만난 적 없는 아버지 친구의 하염없는 인생이 불쑥불쑥 내 삶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곤 했다.

<정지아, 아버지의 해방일지, 창비, 2022, pp. 49-50>
쥐며느리 또는 공벌레

쥐며느리 또는 공벌레

새벽에 명상을 하려고 앉았는데, 책장 밑에서 벌레 한 마리 기어 나온다. 자세히 보니 쥐며느리 같다. 아파트 10층에 이 녀석이 어떻게 올라왔을까, 신기해서 가만히 쳐다보다가, 살짝 건드려보니, 어라! 이 녀석이 공처럼 몸을 말아 버리네. 쥐며느리처럼 생겼지만, 건드렸을 때 몸을 마는 녀석은 ‘공벌레’라고 하는구나. 한참 몸을 말고 있다가 아무 기척이 없으니 다시 몸을 폈는데, 아뿔싸! 그만 몸이 뒤집어져 허연 배가 하늘만 쳐다보고 있다. 몸을 뒤집으려고 짧은 다리로 버둥거리는 모습이 귀엽기도 하고, 애처롭기도 하고. 그래서 도와주려고 살짝 건드리니 다시 몸을 말아 버린다. 아무리 해도 녀석을 도와줄 방법이 없다. 건들기만 하면 몸을 말아 공이 되고, 몸을 펴면 뒤집어져 있고.

삶의 법칙이 공벌레 한 마리에게도 에누리 없이 적용된다. 결국 자기 삶은 자기가 살아야 한다는 그 법칙이.

청복(淸福)

청복(淸福)

깊은 산중에 살며 삼베옷에 짚신을 신고 맑은 샘물에 발을 씻고, 소나무에 기대 휘파람을 분다. 소박한 살림이지만 집에는 악기와 바둑판을 갖추고 책도 가득하다. 마당에는 백학 한 쌍이 노닐고 신기한 꽃과 나무, 장수에 도움 되는 약초를 심는다. 때로 스님이나 신선 같은 이들과 왕래하며 즐기다 보면 세월이 오감을 모르고, 정치가 잘되는지 엉망인지도 모른다. 이를 청복이라 한다.

<정약용, 다산시문집 13>
무한책임과 무책임

무한책임과 무책임

윤석열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했던 말.

“국민 안전은 국가의 무한책임입니다. 국민들께서 안심하실 때까지 끝까지 챙기겠습니다.”

그리고 기자회견 후 100일이 지나지 않았는데,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다. 160여명의 꽃다운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었는데도 아무도 책임도, 아무런 조치도 없었고, 누가 죽었는지도 밝히지 않았다. 이것이 윤석열이 말한 무한책임이다.

윤석열의 말은 다음과 같이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국민 안전은 국가의 무책임입니다. 국민들께서 근심하실 때까지 끝까지 개기겠습니다.”

무한책임과 무책임은 “한”끗 차이였다.

패륜

패륜

살면서 수십 차례 조문을 했지만, 장례식장에 위패와 영정이 없는 곳은 없었다. 누가 돌아가셨는지 알아야 고인에 대한 예를 갖춰 명복도 빌고, 유가족도 위로할 것 아닌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이름을 공개하는 것이 패륜이라고 말하는 자들이 있다. 누가 희생당했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제대로 된 추모와 애도를 할 수 있을까. 진짜 패륜은 축제를 즐기러 나온 젊은이들이 길거리에서 죽도록 내버려 두고, 추모도 할 수 없게 희생자들의 신원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다.

윤석열은 누가 죽었는지도 알 수 없는 분향소에 매일 출근을 했다. 이건 조문이 아니고 그냥 쑈다. 그냥 쑈도 아니고 아주 패륜적인 쑈다. 윤석열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두 번 죽였다.

더 이상 하지 말아야 하는 말

더 이상 하지 말아야 하는 말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고 8년이 흘렀지만, 대한민국은 변한 것이 없다. 문재인 정부 때는 세월호 참사의 진상이 규명될 것으로 기대했건만, 밝혀진 것은 없었고 제대로 책임진 사람도 없었다.

정권이 바뀌자 또다시 이태원에서 참사가 일어났다. 이태원 할로윈 축제는 매년 했던 것이고 매년 많은 사람이 모였던 행사인데, 왜 올해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매년 할로윈 축제 때, 질서 유지를 위해 인력을 배치했던 경찰과 구청이 올해는 무슨 이유 때문인지 인력을 배치하지 않았다(마약 단속 때문이라는 얘기가 있지만,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죄 없는 156명의 젊은이들이 어이없이 목숨을 잃었다.

희생자의 명단도 발표되지 않고 위패도 세우지 않은 분향소에 윤석열은 매일 출근했다. 물론 제대로 된 사과도 하지 않았다. 사실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았기에 놀랍지 않았지만, 그의 출근 조문은 여전히 역겨웠다.

세월호 참사 때도 말했고, 지금 이태원 참사 때도 사람들은 말한다.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해.”

이제 더 이상 이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 사실 지켜줄 생각이 있었으면 윤석열이나 오세훈이나 박희영에게 투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전혀 공인 의식이 없는 사람들을 대표로 선출해 놓고 ‘지못미’를 외치는 것은 자기기만이고, 책임 회피일 뿐이다. 국민을 지킬만한 의지와 책임 의식이 없는 자들에게 투표하는 한, 이런 참사는 계속 반복될 것이고 ‘지못미’는 공허한 메아리로 돌아올 것이다.

참사의 1차적 책임은 윤석열, 오세훈, 박희영에게 있지만, 이들을 대통령, 시장, 구청장으로 선출한 국민들도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 더 근본적인 책임은 국민들의 판단을 흐리고 오도하는 언론에게 있지만, 사실 이 나라에 언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족속이 있는지 의문이다.

그저 할 수 있는 일이란 희생자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하는 것뿐이다.

명상하는 방법

명상하는 방법

고요히 앉아 눈을 지그시 감고 환히 미소 지으며 인당(눈썹 사이)에 마음과 생각을 모으세요. 또 숨을 고요하고 부드럽게 쉬세요. 그리고 숨에 귀를 기울이세요. 이 명상을 틈틈이 매일매일 계속하면 정신의 빛이 자꾸 더 밝아집니다. 빛의 밀도가 높아져서 눈부시게 응어리집니다.

<자허, 숨 명상 깨달음, 다해, 2004, pp. 62>
상을 여읜다는 것

상을 여읜다는 것

상을 여의었다는 건 그 어떤 상에서든 다 벗어났다는 말이고, 어떤 상도 여읜다는 것은 세상 만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말입니다. 나와 다른 삶의 방식, 나와 다른 의견과 주장, 나와 다른 종교와 신앙, 나와 다른 사랑의 방식도 모두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어야 상을 여읜 것입니다.

우리는 늘 이게 옳다, 저게 옳다를 구별하는 관점으로 세상을 보기 때문에 늘 시시비비에 끌려 다닙니다. 또 자꾸 경계를 지어서 스스로를 답답하게 묶어 놓습니다. 화단에 피어 있는 꽃들을 보세요. 형형색색으로 예쁘게 피어 다른 꽃들의 아름다움을 시비하거나 경쟁하지 않습니다.

<법륜, 금강경 강의, 정토출판, 2012, p. 67>

별이 진다네

별이 진다네

어제는 별이 졌다네
나의 가슴이 무너졌네
별은 그저 별일 뿐이야
모두들 내게 말하지만

오늘도 별이 진다네
아름다운 나의 별 하나
별이 지면 하늘도 슬퍼
이렇게 비만 내리는 거야

나의 가슴 속에 젖어오는 그대 그리움만이
이 밤도 저 비 되어 나를 또 울리고
아름다웠던 우리 옛 일을 생각해 보면
나의 애타는 사랑 돌아올 것 같은데

나의 꿈은 사라져 가고
슬픔만이 깊어 가는데
나의 별은 사라져 가고
어둠만이 짙어 가는데

<여행스케치, 별이 진다네>